고소득 전문직 중 대표적인 직업! 하면 바로 언급되는 것이 의사일 것이다. 의사가 평균적으로 매우 고소득직종인 것은 맞으나 보건소에서 근무하는지,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지, 또는 개원을 했는지 등 근무지에 따라 소득이 천차만별이고 또 분야에 따라서도 소득이 달라진다. 진료과에 따라 분류하자면 비뇨기과 의사, 피부과 의사, 가정의학과 의사, 소아과 의사, 정신과 의사, 마취병리과 의사, 방사선과 의사, 치과 의사, 산부인과 의사, 내과 의사, 안과 의사, 이비인후과 의사, 외과 의사, 성형외과 의사 등 종류가 매우 다양하다.
진료과 종류 (대한의학회의 회원학회 분류법 기준)
-'내과학' 계열
가정의학과 Family medicine, FM
결핵과 Tuberculosis, TB
내과 Internal medicine, IM
소아청소년과 Pediatrics, PED
신경과 Neurology, NR
정신건강의학과(구 정신과 혹은 신경정신과) Psychiatry, NP
재활의학과 Rehabilitation medicine, RM
피부과 Dermatology, DER
-'외과학' 계열
비뇨의학과(구 비뇨기과) Urology, UR
산부인과 Obstetrics & Gynecology, OBGY
성형외과 Plastic surgery, PS
신경외과 Neurosurgery, NS
안과 Ophthalmology, EY
외과 General surgery, GS
이비인후과 Otolaryngology, ENT
정형외과 Orthopaedic surgery, OS
흉부외과 Thoracic & cardiovascular surgery, CS
-'내과학, 외과학 외의 임상의학' 계열
마취통증의학과 Anesthesiology, AN
방사선종양학과 Radiation Oncology, RO
영상의학과 Radiology, DR
응급의학과 Emergency medicine, EM
직업환경의학과(구 산업의학과)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OEM
진단검사의학과(구 임상병리과) Laboratory medicine, LM (or CP)
핵의학과 Nuclear medicine, NM
'사회(인문) 의학'
예방의학과 Preventive medicine, PM [13]
'해부, 병리학' 계열
병리과(구 해부병리과) Pathology, AP
다음은 평균 연봉을 알아볼텐데, 말 그대로 평균이므로 지역과 개인 능력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점, 참고해서 보길 바란다!
진료과별 의사 연봉 순위
(중윗값 기준, 워크넷 한국직업정보 서비스 참고)
성형외과 의사: 12,432만 원
이비인후과 의사: 11,396만 원
외과 의사: 11,396만 원
정신과 의사: 11,198만 원
피부과 의사: 11,150만 원
안과 의사: 10,360만 원
산부인과 의사: 10,000만 원
내과 의사: 9,842만 원
마취 병리과 의사: 9,671만 원
치과의사: 9,578만 원
비뇨기과 의사, 가정의학과 의사, 소아과 의사, 방사선과 의사가 뒤를 이었다.
개원의, 페이닥터 / 인턴, 레지던트 평균 연봉
(2022년 보건복지부 조사 기준, 세전)
개원의: 2억 9.428만원
페이닥터: 1억 8.539만원
(2019년 자료 기준, 세전)
인턴: 363만원
레지 1~4년: 370만원
'직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계사 하는 일, 전망, 연봉 총정리 (0) | 2023.06.27 |
---|---|
2023 일반직 공무원 월급, 연봉 총정리 (0) | 2023.05.25 |
고연봉 대기업 순위, 순서대로 정리 (1) | 2023.05.25 |
문과, 이과 전문직 평균 연봉 순위 (1) | 2023.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