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경제 상식

예금, 적금 차이와 장단점, 예금자 보호

by 인벗 2023. 5. 13.
반응형

재테크의 기본은 근로소득을 예금, 적금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높은 금리의 예적금 가입은 재테크를 시작하는 학생부터 주식, 부동산 등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는 여러 루트를 이미 잘 알고 있는 사람에게도 꼭 필요한 정보일 듯싶다. 금리가 예상보다 하락하는 경우나 인플레이션 등의 요인으로 인해 이자 수익이 원금 상승률을 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 예적금에 돈을 두는 것이 항상 최적의 재테크 방법인 것은 아니다. 금리 변동성이나 안정을 추구하는 본인의 성향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해서 예금과 적금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언제라도 전체 자산의 일정 비율은 예적금에 두어야 여러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예금

예금은 보통예금과 정기예금으로 나뉘는데 보통예금은 자유입출식 통장을 생각하면 된다. 금액 제한이나 기간 제한이 없고 입출금이 자유로운 대신 이자가 거의 없다시피 할 정도로 이율이 낮다. 은행에서 상품으로 내세우는 예금은 대부분 정기예금을 말한다. 정기예금은 최초 한 번 목돈을 예치하면, 기간이 도래한 후 약정 이자를 받는 상품이다. 금리는 보통 예치 기간이 길수록 높아진다. 적금과 비교하면 대부분 정기예금의 이자율이 낮지만, 높은 금액에 긴 기간 이자가 붙으니 실제 받을 수 있는 수익은 적금보다 크다. 적금 이자율이 월등이 높은 것이 아니라면 정기예금에 목돈을 두는 것이 유리하다.

 

 

 

적금

적금은 정기 적금과 자유 적금으로 나눌 수 있다. 정기 적금은 매월 일정 금액을 꾸준히 저금한 금액을 약정 기간이 지나면 소정의 이자와 함께 돌려받는 상품이다. 자유 적금은 입금액 제한이 없는 경우를 말한다.  자유 적립식 적금은 가입 후 바로 목돈을 예치할 수도 있고 이 경우 정기예금과 같은 효과가 있기 때문에, 정기 적금보다 유리하다. 

 

예를 들어 1200만원이 있을 시 한 번에 연 4프로, 1년간 정기예금에 넣는다고 했을 때, 만기 시 받는 금액은 12,406,080원이다. 총 406,080원의 수익이 있다.

 

100만 원씩 12개월 나누어 연 7프로, 1년간 정기적금에 넣는다고 했을 때, 만기 시 받는 금액은 12,384,930원이다. 총수익은 384,930원이다. 아무리 적금 이자가 3프로 높다고 해도 예금 수익이 높기 때문에 잘 계산 후 가입하는 것이 좋다.

 

 

 

예금자 보호

예금과 적금은 모두 예금자보호 상품이므로 원금과 이자를 합쳐서 5천만 원까지 보장이 가능하다. 예금자 보호란 은행이 파산하면 정부 또는 정부가 위탁한 기관에서 대신 돈을 준다는 뜻이다. 이자까지 계산하여 5천만 원 이하로 은행마다 나누어 예치하는 것이 좋다. 신한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농협, 수협 등 대부분의 시중 은행, 저축 은행, 보험회사 등은 『예금자보호법』을 근거로 하여 예금보험공사가 그 주체로서 보호한다.

 

* 새마을금고는 다른 은행과는 달리 '새마을금고법'에 예금자 보호 제도를 명문화하고 있다. 예금자보호 준비금을 새마을금고 중앙회에 설치하여, 예금자가 예탁한 새마을금고 지점이 해산하여 예, 적금을 지급하지 못하게 될 때, 그 준비금으로 예, 적금의 환급을 보장해 준다. 보호 금액은 1인당 원금과 이자를 합하여 5천만 원까지이다.

 

자체 기금에 따라 예금자 보호를 진행하는 곳은 새마을금고, 신협, 단위 농협 등이 있다.

반응형